2022년부터 2026년까지 진행되는 해양공간 디지털트윈 적용 활용 기술 개발 과제입니다.
본 과제는 3내역으로 분류가 되어 있고, 3개의 주관기관과 40개의 참여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내역
1내역 사업은 해양 디지털트윈 구축 및 활용기반 기술연구로 총 사업비는 국비 187.99억입니다.
지속적으로 변하는 유동적 해양공간과 3차원으로 영향을 미치는 해양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육상과 다른 해양정보 디지털트윈 모델과 4D공간모델링 기술을 개발하고 3D 공간연산 기술을 구현한 독자적인 해양 디지털트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1내역의 최종목표는 해양 디지털트윈 모델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구축 체계를 구현하고 해양 디지털 트윈 모델, 시뮬레이션 및 4D 시각화 등의 해양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현과 다양한 해양정보 연계, 정책시뮬레이터 및 서비스 모델과 연동을 통해 해양 디지털트윈 태스트베드 구축·검증하여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해양장버 가시화 기술개발과 표준화입니다.
1내역
총 사업 예산 : 394.63 억원
1내역 과제 예산 : 187.99 억원
2내역
2내역
총 사업 예산 : 394.63 억원
2내역 과제 예산 : 129.78 억원
2내역 사업은 해양공간 정책 시뮬레이터 기술 개발로
총 사업비는 국비 129.78억입니다.
합리적인 해양공간 개발 및 이용을 촉진하는 동시에 친환경적, 지속가능한 해양활동을
유도하며, 이용자 간 갈등을 예방할 수 있는 해양공간 통합관리 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2내역의 최종목표는 해양활동 예측 및 시나리오 기반 공간변화·정책진단을 위한
해양디지털플랫폼 기반의 지능형 해양공간 정책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및 정책지원기술 제도
개선안 마련입니다.
3내역
3내역 사업은 맞춤형 해양예측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기술 개발로 총 사업비는 국비 65.24억입니다.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재난·재해 사전 예방·저감 등에 대해 선제적인 디지털 기술 기반 의사 결정 및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 주도적인 해양 디지털트윈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3내역의 최종목표는 다양한 수치모델 기반 해양예측자료 융합·제공 등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선제적으로 현장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해양예측서비스 시범구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