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효과

실시간 데이터 수집, 표준화된 모델링, 4D 디지털트윈 관련 기술을 확보하여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고,
새로운 서비스 기반의 해양 산업 활성화를 촉진하는 한편, 해양 분야 디지털트윈 및 표준화 선도 국가로서 우리나라의 국제 사회 위상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됩니다.

  • 해양 데이터의 전처리, ETL, 데이터 모델링 기반 Feature Catalog 등록 기술 확보 (해양조사원의 품질검사 소프트웨어 활용)

  • 표준화된 데이터처리 기법과 이를 위한 기반 기술 개발로 향후 관련 시스템 개발 및 데이터 취득시 개발 시간 단축 효과 예상

  • 미러링 등을 통해 NASA 및 위성데이터 등의 해양정보관련 원천 Raw 데이터를 확보하여 연구개발 및 활용 기회 확보 가능

  • 원천 데이터의 저장과 이를 재가공하는 전처리 등의 과정이 소프트웨어 개발 새영 주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기반 구축이 가능

  • 해양디지털트윈 기반 시뮬레이터는 각종 해양 공간 객체 및 관련 데이터를 4D 기반 디지털트윈공간에 투영하여 한반도 주변 해양환경을 재현하고 예측함으로써 각종 예측 정확도 향상 가능

  • 3면이 바다에 면한 한반도 해양 특성을 4D 위치 공간 정보로 분해 예측하여 기후변동으로 인한 수산, 재난 등의 경제적 손실 방지 역할 기대

  • 해양 기반 지연재해로부터 인명과 재산 보호

  • 자연과 해양이 공존할 수 있는 공영 발전에 이바지

  • IHO의 S-100을 기준을 바탕으로 해양 디지털트윈을 설계하여 ISO와 OGC, INSPIRE를
    ISO19115 기준으로 통합하는 해양 디지털트윈 데이터 모델링 개발

  • 표준 통합에 필요한 막대한 연구개발 예산 절감

  • S-100 등의 데이터 사양과 품질 관리를 넘어 통합형 디지털트윈을 기반으로
    새로운 해양생태계 조성 기여

  • S-100등의 국제표준을 선도하는 해양 데이터 개발 선진국으로 위상 강화

  • 표준 해양 데이터 모델링 기반 디지털트윈을 실제 적용 검증함으로써 향후 기술확산 및 공공 정보시스템 도입 시 정보화 위험 요소 감소

  • 개방형 표준을 적용함으로써 2D 및 3D 내비게이션등으로 활용 기능하여 해상교통 및 물류 등 해양 산업 전반의 기술혁신 예상

  • S-100기반의 디지털트윈 해양 데이터모델 구축은 데이터 생산의 혁신과 규모의 경제를 가능케하고 유통 및 판매를 가속화하여 정보의 가치를 증대시킬 것으로 예상

  • 해양 정보의 공개로 보다 많은 해양인과 일반인이 참여하는 해양생태계 조성

  • 오픈소스 기반을 지향하는 정부정책 기조에 발맞추어 다양한 개발기능성을 높여 소프트웨어 개발이 적합한 개방형 해양 시스템 개발 문화 창달